읽은 이야기 | 김시시
오늘의 교육을 열며
학교교육은 ‘과잉’ 때문에 망할 것이다 | 김수현
특집 | 인권은 폐지될 수 없다
학생인권조례 폐지, 무엇을 혐오하고 어디를 겨냥하는가 | 공현
- 인권 담론·정책이 공격당하는 배경
포퓰리즘 시대에 극우파에 맞서는 법 | 장석준
- 인권 담론·정책은 왜 폐지당하고 있는가
학생인권 과잉이라는 환상, 정말 그런가 | 새시비비
학생인권에 반대하게 하는 ‘교권’의 함정 | 김진
- 학생인권법에 반대하는 교원단체들에 대한 비판
국회가 학생인권법의 ‘인권 방패’를 들길 바라며 | 수영
- 지금 학교에 학생인권법이 필요한 이유
학생인권, 교육 불가능에서 찾아낸 가능의 언어 | 박복선
기획 | 서이초 사건 1년, 우리 사회에 남긴 것들에 대한 성찰
서이초 담론 프레임의 특징과 한계 | 성열관·안상진·이지은
그 후 1년, 학교는 달라졌는가 | 소서
보호자와 소통하며 교육 활동을 보호하려는 학교의 고민 | 전인숙
- 학교-보호자 간 소통 체제 구축과 운영 사례
자살은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| 선수윤
기획 | 성평등·성교육 도서 논란
성평등·성교육 도서는 ‘잼얘’가 될 수 있을까 | 몽
- 도서관에서 폐기하느냐, 마느냐의 논쟁을 넘어
책을 검열하는 미국의 극우운동 | 전누리
- 미국 학교와 공공 도서관에서의 도서 금지 전쟁
연속 기획 | 특수에서 보편으로
누구를 위해 ‘응용행동분석’은 존재하는가 | 윤상원
- 발달장애라 명명된 학생 행동에 대한 두 가지 접근 : ABA vs. CHAT
불구는 왜 급진적인가 | 이명훈
- 불구의 관점으로 교육을 재상상하기
시
세상에서 가장 따뜻했던 저녁 / 누 떼가 강을 건너는 법 / 버팀목에 대하여 | 복효근
텃밭 가꾸기 / 텃밭 사용 설명서 / 소나무 장미 | 안영선
연재 | 무엇이든, 누구에게든 성교육이되 ①
성교육에서 다루어야 하는 항문 섹스와 역량 | 나영정(타리)
- 플레져와 항문
연재 | 청소년의 시좌에서 – 교육복지 현장의 이야기 ③
청소년, 듣고 싶은 그들의 이야기 | 발랑(신선웅)
- 상담실 아닌 곳을 찾는 학생들
연재 | 대학생운동 인터뷰 – 대학의 위기와 대학 안의 운동 ⑦
‘공간으로서의 대학’을 고민하는,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공간 | 강석남
고려대학교 생활도서관 박민상·임서연·황민용·권세연
기고
교사의 ‘전문성 정치’ 그리고 ‘심사 위원’이 된 교사 | 문호진
서울시교육청은 학생과 교사를 보호하라 | 김진
- A학교 성폭력 사안 공익 제보 교사 부당 전보 철회 투쟁
에세이
내일은 없다 | 허보영
- 고교학점제, 이상과 다른 현실
쇼트커트 여교사의 학교 이야기 | 고주희
테마 에세이 | 기간제 교사로 사는 법
학교를 나온 교사 학교로 돌아간 이방인 | 구윤숙
‘땜빵 교사’의 자리에서 바라본 학교의 풍경 | 현유림
나라는 겁쟁이에게 주는 과제 | 이평과
- 비정규직 교사의 동료 되기 프로젝트
리뷰
인권의 도미노, 학생 존중에서 시작되는 모두의 권리 | 정주리
- 《학교를 바꾼 인권 선언》
어린이가 거짓말을 할 수 있듯 독립영화도 구태일 수 있다 | 이윤승
- 영화 〈양치기〉
오늘 읽기
세 줄 새 책
어제와 오늘의 어린이책 | 조현민
내가 밀고 있는 단체
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 | 안영신
난민인권센터 | 신성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