읽은 이야기 | 서희
오늘의 교육을 열며
교육 불가능 시대의 교육은 다시 운동이 되어야 한다 | 편집위원회
특집│학교폭력예방법이라는 폭력
안전하게 다툴 권리를 빼앗겼다 | 김성보
범죄는 형법으로, 갈등 조정은 다시 학교의 몫으로 | 이윤경
-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 경험을 바탕으로 제안하는 제도적 대안
학교폭력 관련 법 속에서 아동은 무엇을 경험하고 있는가 | 김희진
- 처벌과 배상 중심 제도가 아동에게 끼치는 영향
교육적 맥락을 놓치지 않기 위해 했던 노력 | 오승관
- 혁신학교 국사봉중의 학교폭력 사안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
학교폭력 예방과 대응의 새로운 경로를 상상하기 | 정용주
- 법제화의 한계를 넘어 예방과 회복의 패러다임으로
[좌담] 학교 안 갈등 해결의 실마리, ‘대화’에서 다시 시작하자 | 강물, 박숙영, 반은기, 임수희
- 오래된, 그러나 대체 불가능한 유일한 해법
기획│교육으로 민주주의를 구할 수 있는가
나의 ‘동료’ 시민을 어떻게 찾을까? | 하승우
교육화 시대의 교육 담론 | 이명훈
- ‘교육 구국론’과 ‘교육 망국론’을 넘어
시
조등, 오동꽃 / 시론詩論 | 이종암
빙하 장례식 / 두 마음 | 박일환
연재 | 무엇이든 누구에게든 성교육이되 ⑤
섹스를 하는 누구나 성매개감염을 경험한다 | 공혜원
연재 | 교육복지 현장의 이야기 마지막 회
우리는 어떻게 함께 존재할 것인가 | 발랑(신선웅)
- 구조적 변화와 모두의 연대
수업
수업의 변화를 이끄는 교사의 행위주체성 | 최은경
기고
‘어린’ 존재의 죽음과 애도에 서툰 학교 | 현유림
체험 혹은 모험 | 김지용
- 현장체험학습, 불가피한 위험을 감수할 용기 필요
딥페이크 성폭력과 일상의 민주주의 투쟁 | 수수
에세이
아이들과 함께 농사지은 시간, 변화가 필요해 | 배이슬
- 진안 생태 텃밭 수업 6년을 돌아보며
리뷰
진짜, 우리는 왜 그림을 못 그리게 되었을까? | 김환영
- 《우리는 왜 그림을 못 그리게 되었을까》
생명과 안전은 민주주의와 함께 간다 | 간우연
- 《참사는 골목에 머물지 않는다》, 《재난 이후, 사회》
오늘 읽기 | 공현
세 줄 새 책
어제와 오늘의 어린이책 | 조현민 |